미국이민안내

  • 영주권자 혜택
  • 이민비자
  • EB-5 투자이민
  • Twin Lakes Georgia
  • APN 약물치료 센터
  • Yellowstone Club Phase II
  • NY Gateway Logistics Center
  • 마감프로그램
  • EB-3 취업이민 3순위
  • 비숙련공
  • Case Farms
  • Harrison
  • pecofoods
  • Care Center
  • LA 한인 양로원 호텔
  • White Lodging Hotel
  • 마감프로그램
  • EB-1/NIW 전문가이민
  • 가족 초청이민
  • 비이민 비자
  • E-2 투자비자
  • E-2 투자비자
  • L-1 주재원 비자
  • 비자 거절
  • 웨이버
  • 재입국허가
  • 미국영주권포기
  • 미국법인 설립/세무
  • 변호사
이학전문인 영주권
이학분야 전문인을 위한 영주권 제도
미국은 이학 분야(물리학, 화학, 천문학, 생물학, 지질학 포함)에서 주목할만한 뛰어난 업적을 가진 외국인들이 미국의 영주권자로 들어올 경우 미국의 국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이들에게는 미국 내 고용주나 노동증명서(Labor Certification) 가 없더라도 자력으로 미국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영주권 제도를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학관련 전문인 분들의 경우 아래의 조건 중 3가지 이상에 해당되시면 특기자 영주권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문지 혹은 중요 매체에 자신의 글을 기고 (Journal papers & Articles)
특허 출원 (Patents or trademarks)
논문 발표 (Thesis or Papers)
지원 받은 연구프로젝트와 이를 통한 관련 이학계 공헌 (Research projects)
학술 발표 자료 (Conference presentations)
국내 혹은 국제적으로 비교적 덜 알려진 이학 관련 수상경력 보유 (Prizes, Awards)
국내 혹은 국제 이학 협회 중요 회원 (Critical membership)
주요 언론이 본인의 이학 분야에서의 업적에 관해 소개한 기사 (Media reports)
동종의 다른 전문인의 논문이나 학술자료를 심사 또는 평가한 경력 (Judgement)
동종의 다른 특기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한 고액 소득 (Substantial income)
관련 저서 출간 (Books and Chapters)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이상자
관련 분야 학사 학위 취득 후 최소 10년 이상의 경력 보유자
기타 자신이 속한 분야에 뛰어난 공헌을 했다는 증거 (Contribution) 등
신청 대상자
이학 석?박사 학위 소지자
이학 교수
이학 분야 연구원
이학 협회 간부 등
이학 분야와 관련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인정 받는 상
Dan David Prize
Three prizes of US$ 1 million each are annually awarded for achievements having an outstanding scientific, technological, cultural or social impact on our world. Each year fields are chosen within the three Time Dimensions -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dandavidprize.org)
Hubbard Med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ward for distinction in exploration, discovery, and research. The medal is named for Gardin Greene Hubbard, firs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president.
John J. Carty Award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warded b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Lenin Prize (레닌 상)
formerly awarded to Soviet citizens for achievements in arts and letters, cinema, mathematics, sciences and other disciplines. 1925년 제정, 일시 중단하였다가 현재는 홀수 해에 수여.
National Medal of Science
given by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n recommendation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to scientists and engineers in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biology, chemistr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physics.
럼퍼드상 (Rumford Priz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State Science and Technology Prizes
중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과학기술상.
Wayne B. Nottingham Prize
awarded annually for outstanding doctoral research in surface science.
기타
Common Wealth Award of Distinguished Service, Marcel Benoist Prize, Japan Prize, Kavli Prize, Kyoto Prize, Lomonosov Gold Medal, Majorana Prize, Nierenberg Prize, Otto Hahn Medal, Phi Beta Kappa Award, Prince of Asturias Awards, Prince Sultan Bin Abdulaziz International Prize, Rumelhart Prize, Rumford Medal, Rutherford Medal -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Safe-In-Sound Award, Shaw Prize, Stampacchia Medal (Italian Mathematical Union), Vannevar Bush Award, Werner-von-Siemens-Ring


당사 전문 변호사 주요 영주권 승인 사례
미국에서 기상학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국립 연구소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밝고 계신 분으로, 오존층에 관한 활발한 연구로 해외 유명 저널에 128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미국 기상학회 회원으로 활발한 학회 활동을 수행하고, 미국의 주요 연구기관의 교수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오존층 파괴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발표하는 등의 능력을 인정 받아 영주권 승인 됨.
한국 대학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밟고 있는 연구원으로 영어와 학국어 학술저널에 총 21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그 논문들이 다른 연구원들에 의해 100회 이상 인용된 기록으로 영주권 승인 됨.
한국에서 화학과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현재 영어 어학연수를 받고 있는 케이스로서 한국출간물 5개와 10개의 patents를 갖고 영주권 승인 됨.
미국에서 해양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 해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신 분으로, 해양 생물에서 신약 물질을 개발하는 최첨단 분야의 연구로 국내외 저널에 논문 169편 게재, 국내 특허 18개, 해외 특허 6개, 국내외 학술회의 발표 485회 등의 경력으로 영주권 승인 됨.
한국에서 미생물학에서 석사학위를 갖고 미국에서 research fellow 로 일을 하고 있던 중 3개의 한국논문과 3개의 미국논문을 발표했던 케이스로 2008년도에 이민 청원서를 접수 하여 4개월 만에 I-140과 I-485가 영주권 승인 됨.
우리나라에서 자원개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다국적 에너지그룹의 에너지탐사 부문의 임원으로 계신 분으로, 획기적인 새로운 탐사 기술 개발과 뛰어난 탐사 성공 실적을 입증 하여 영주권 승인 됨.
미국에서 지질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대학 지질학과 교수로 계신 분으로 2권의 한글 저서와 1권의 영문 저서, 4개의 국내 학회 활동, 142편의 국내외 논문 게재, 3명의 국내외 추천서를 받아 영주권 승인 됨.
우리나라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밟은 후 대학 병원에서 분자생물학 교수로 재직중인 분으로, 미국 분자생물학회 회원으로 계시면서 해외 저널에 논문 27편을 게재하였고 173회의 논문 내용 피 인용 실적을 가지고 영주권 승인 됨.
일본에서 고고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대학 고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신 분으로 5권의 저서가 있으며, 45편의 논문, 해외 한국학 연구소 근무, 문화재청 전문위원, 문화재 감정위원 등의 경력을 인정 받아 영주권 승인 됨.